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아침의 재발견 [서평, 책리뷰]
    오늘 읽은 책 2020. 6. 7. 17:08
    반응형

     

     

    목차

    들어가며 우리의 잃어버린 아침을 찾아서

    제1장 상쾌한 아침은 즐거운 뇌에서 시작된다

    월요일만 되면 항상 힘들고 우울한 이유│아침마다 뇌가 좋아할 만한 보상을 준비하자│‘꾸준한 호기심’으로 뇌를 설레게 만든다│일어나서 3시간, 두뇌 활동의 골든타임을 잡아라│아침 식사에 대한 오해와 진실 │저절로 몸이 움직이는 ‘아침 루틴’을 만들어라│아침 SNS 활동으로 재빠르게 사회와 소통하자

    제2장 최상의 컨디션을 만드는 사소하지만 중요한 아침 습관

    아침은 몰입 경험을 위한 최고의 시간│최고의 아침을 위해서 밤의 뇌는 쉬어야 한다│햇빛을 쐬어 뇌에 아침이 왔음을 알려라│뇌는 걸을 때 더없는 행복을 느낀다│규칙적인 아침 식사로 뇌에 에너지를 채운다│습관으로 뇌를 ‘동기화’시킨다│‘네오필리아’의 천적인 지루함을 물리치는 방법│낯선 환경을 선사하여 뇌를 깨운다│생각하고 행동하는 대로 우리의 뇌는 변한다

    제3장 피곤한 아침을 개운하게 바꾸는 뇌과학적 숙면 관리법

    성공한 사람들은 모두 일찍 잠들었다│잃어버린 아침을 되찾는 잠들기 전 1시간 습관│‘오늘의 기분 좋은 일’ 세 가지를 떠올리자│잠의 질을 좌우하는 빛과 온도의 긴밀한 관계│저녁 식사는 잠들기 3시간 전에 마친다│자기 전 술 한잔, 숙면을 방해하는 최대의 적│수면 시간 확보를 1순위에 두자

    제4장 뇌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는 아침 시간 사용법

    아침 시간의 ‘가성비’를 최대로 높이는 법│‘워라밸’의 첫걸음, 아침 시간을 사수하라│세계적 기업 구글의 ‘20퍼센트 룰’이 주는 교훈│순간 집중법으로 자투리 시간도 효율적으로!│제한 시간을 두어 나 자신과 경쟁한다│주변 사람들과 함께 이상적인 시간표를 만들자

    제5장 관계와 관점을 넓히는 아침 SNS 활용법

    뇌의 보상 체계를 활성화하는 ‘모닝 SNS’│디지털과 아날로그의 결합으로 더 신선한 정보를 수집하자│나의 존재감과 영향력을 키우는 SNS 활용법│매일 짧은 글쓰기로 문장력과 표현력을 기르자│아침 모임에 참가해 새로운 커뮤니티를 꾸리자│스스로 아침 모임을 주최하자

    제6장 스트레스를 이기는 창의적 아침 두뇌 만들기

    스트레스를 이기는 뇌의 비밀│작게, 사소하게, 가볍게 시작하라│강박을 버리고 ‘조금씩 꾸준히’에 집중하라│뇌를 위한 근육 운동 ‘의식적으로 행동하기’│번뜩이는 아이디어를 낳는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산책 명상으로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우연 속에서 기회를 발견하는 세렌디피티적 사고│두뇌의 온·오프 스위치를 의식적으로 전환하자│좋아하는 음악으로 아침을 활기차게 시작하자│스트레스를 억제하는 카레의 놀라운 효능│과거의 자신을 받아들이는 것이 변화의 첫걸음│뇌와 마음에 여유를 가져다주는 감사의 말 한마디

    제7장 나를 바꾸는 행복의 열쇠, 긍정적 뇌

    인생은 뇌가 받아들이는 만큼 바뀐다│걱정 많은 뇌 안심시키기│자기 탐색으로 뇌가 기뻐하는 순간을 찾아내자│누구도 흔들 수 없는 나만의 안전기지를 만들어라│긍정의 말버릇으로 불행의 사슬을 끊어라│기분 좋은 하루는 나의 말 한마디로 시작된다 │꿈의 시각화와 청각화로 ‘의욕 스위치’를 켜자 │뇌가 좋아하는 성취감을 계속해서 쌓아 올리자 │작은 성취감을 맛볼 수 있는 시차 출퇴근│호기심의 사이클을 멈추지 않는 법│근거 없는 자신감이 적극적인 삶을 만든다│뇌의 무한 성장 가능성을 믿어라

    나오며 아침 습관을 바꾸면 ‘최고의 나’를 만날 수 있다!
    참고문헌

     

     


     

     

     

     

    여러분은 아침시간을 어떻게 보내고 계시나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침잠에서 깨어나는 것을 힘들어 합니다.

     

    저도 알람 없이는 일어나기가 힘듭니다. 

     

    그런데 사회적으로 성공한 많은 사람들은 아침시간의 중요성을 항상 강조합니다.

     

    왜 아침일까요?

     

    오늘 소개할 책은 일본의 뇌과학자가 말하는 아침의 재발견이라는 책입니다.

     

    저자는 뇌과학적 관점에서 아침의 중요성을 이야기합니다. 어떻게 힘들이지 않고 아침에 일어날 수 있는지, 아침시간을 어떻게 활용하는 게 가장 효율적인지 등 아침시간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합니다. 

     

     

    아침잠에서 깨어난 직후의 우리두뇌는 전날의 피로나 스트레스가 말끔하게 해소된 상태가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 때 적절한 자극을 주면 상쾌한 기분을 느끼며 높은 효율로 일이나 공부에 몰두 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여러분은 아침식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전문가들도 아침밥을 먹어야 하는지, 먹지 않는 게 좋은지 의견이 다릅니다. 

     

    저자는 뇌과학을 근거로 이렇게 말합니다.

     

    “밥을 먹으면 우리 뇌의 포만중추가 채워져 두뇌 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따라서 두뇌의 골든타임인 아침 시간을 밥을 먹는 데 쓴다면 아침부터 빠른 두뇌 회전을 기대하기 어렵다.”

     

     

     

    하지만 아침밥은 뇌에도 몸에도 도움이 되는 것은 맞다고 합니다.

     

    그래서 새로운 일이나 평소 하고 싶었던 일에 도전하고자 한다면 아침 식사전에 하는 게 효율적이라고 조언합니다. 

     

    그리고 아침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을 들으면 저는 항상 궁금증이 생깁니다. 

     

    사람마다 집중이 잘 되는 시간은 조금씩 다르고, 저녁이나 새벽에 집중이 잘 되어 이 때 공부나 일을 하는 사람도 많은데 꼭 아침시간을 만들어야 할까? 잠을 좀 더 자 컨디션을 좋게 하는 게 더 효율적이지 않을까?

     

    저자가 말하는 통계를 보면, 아침형 인간 유전자를 가진 사람은 40퍼센트, 저녁형 인간 유전자를 가진 사람이 30퍼센트, 나머지 30퍼센트는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고 합니다.

     

     

    그래서 저녁형 유전자를 가진 사람이 무조건 잘못된 생활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니나, 직장에서의 업무나 공부할 때의 뇌의 효율성을 고려하면 아침형 인간이 유리한 건 분명하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는 술과 수면에 대한 관계에 대해서도 나옵니다.

    저도 그렇고 많은 사람들은 술을 마시면 평소때보다 잠이 더 깊게 드는 느낌이 듭니다.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잠을 푹 자기 위해 술을 마시기도 하는데요. 우리가 느끼는 게 사실일까요?

     

     

    저자는 말합니다.

     

     

    “만취한 상태로 잠들면 깊은 잠(논렘수면)에 빠진 듯한 기분이 들 수는 있는데 이는 알코올 때문에 몸이 일시적으로 ‘마비’되어서 느끼는 기분일 뿐 실제로는 얕은 잠(렘수면)을 자는 상태다. 뇌와 몸에 쌓인 피로는 당연히 풀리지 않는다.”

     

     

    책에는 이 외에도 아침의 중요성, 뇌의 기능 및 각종 생활습관 등에 대해 많은 내용이 나옵니다.

     

    아침시간 활용에 관심이 있으시거나, 생활습관을 바꿔보자 하시는 분들은 이 책을 읽어보시고 삶의 변화를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